진통제이기에 다양한 약물에 쓰이는 디히드로코데인은 마약성분이기도 하기 때문에 최근 국내에서 주의보가 내려졌습니다. 이 성분이 구체적으로 약물로서는 어떻게 쓰이고, 또 어떤 부작용이 있는지, 디히드로코데인이 들어가 있는 대표 약들은 무엇이 있는지 등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디히드로코데인이란?
이름도 어려운 디히드로코데인은 중등도의 심한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반합성 진통제입니다. 이 약은 뇌와 척수의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여 통증 감각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나 치과 통증, 수술 후 통증 및 관절염이나 암과 같은 질환으로 인한 만성 통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됩니다.
디히드로코데인의 위험도와 부작용
보통 적절한 용량을 쓰고, 의사에 지시에 따라 복용하면 흡수도 잘 되며 효과적으로 통증을 다스리게 도와주는 약입니다. 하지만 이 약물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데, 물론 부작용은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디히드로코데인의 부작용은 총 5가지로 구분됩니다. 졸림, 어지럼증, 혼란, 불안, 두통등의 신경계 부작용, 구토, 설사, 복통, 구역질 등의 위장계 부작용, 알러지 반응, 발진, 가려움증, 땀 등의 피부 부작용, 빈혈, 간 소낭, 호흡 곤란, 혈소판 감소 등의 호흡계 부작용, 과도한 기분 변환, 과도한 의존증 등 정신 및 행동 부작용이 그것입니다. 디히드로코데인은 다른 오피오이드 와 마찬가지로 호흡 억제 작용이 있기 때문에, 높은 용량으로 복용하거나 다른 약물과 함께 복용하는 경우 호흡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디히드로코데인은 중독성이 있는 약물입니다. 때문에 오용이나 중독의 위험이 있어, 반드시 지시 사항을 따르며 복용하는 게 중요합니다.
디히드로코데인은 마약?
디히드로코데인은 마약류 약물이 맞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디히드로코데인은 다른 강한 마약류 약물은 아니기 때문에 적절하게 용량만 맞게 사용하면, 중독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나라에서 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있고, 이를 활용한 재약품도 많이 있습니다. 적절한 양을 사용하면 중독되지 않겠지만, 만일 한 번에 사용하는 양이 적정 수준이라 하더라도 장기간 복용하면 중독될 수 있습니다. 무기력증이나 피로감, 또 약에 대한 강한 욕구나 필요성 등 중독과 관련된 증상이 나타나면 그에 대한 대처법을 찾아야 하는 것은 확실합니다.
디히드로코데인이 들어간 약
코드인과 혼합한 코디놀, 오피오이드와 혼합된 소화기간 운동 억제제인 판토판, 맵티졸린 등이 함유된 드로덴덤, 데퓨로스 등이 있습니다. 최근 한국에서 이슈가 된 약은 일본 다이쇼제약에서 생산하는 종합감기약 '파브론 골드 A'로, 일본은 물론 한국에서도 매우 인기 있는 약 중 하나입니다. 감기 증상을 완화 시킬 수 있는 해열제,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함유하고 있는데, 여기에 마약 성분인 디히드로코데인이 들어있어 주의를 주고 있습니다. 나라마다 허용약의 기준이 다르고, 약의 첨가되어 있는 성분의 함량 허용 기준도 다른데, 국내에서 정식 수입한 의약품이 아닌 약을 해외에서 사 들고 올 때, 한국에서 문제가 되는 의약품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소아 환자나 청소년 환자에게 국내 검증이 되지 않은 약을 투여했을 때 그 부작용의 위험이 더 큽니다. 외국에 갔다고 당장에 인기 있는 약을 그냥 사왔다가 복용했을 때 생길 수 있는 불상사를 고려해서 약을 구매해야 할 것 같습니다.
'건강 > 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정적인 수면을 도와주는 약 산도스졸피뎀정 10mg (0) | 2023.04.19 |
---|---|
겔포스 효능, 겔포스 편의점 가격 (0) | 2023.03.22 |
프로포폴 효과, 부작용, 중독 및 프로포폴 연예인 (0) | 2023.02.28 |
라제팜정 부작용 및 관리법 (0) | 2023.02.23 |
타그리소 효과와 건강보험 (0) | 2023.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