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건강 이상 증상 / / 2023. 3. 8. 06:47

생간 기생충 종류와 위험성

곱창집에는 곱창만 먹으러 가는 게 아니죠. 천엽이나 소의 생간도 미식을 즐기는 분들이 좋아하는 음식입니다. 하지만 생간을 먹고, 몇 번을 수술을 했다던가 갑자기 실명이 왔다던가 하는 이야기 때문에 먹는 게 겁나는 분들 계시죠? 왜 생간을 먹어서 이런 일이 생기는 건지, 그리고 실제 생간은 그렇게나 위험한 음식인 건지 이 포스팅에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생간의 위험성 

소의 날 간을 먹어서 건강상 심각한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생간이 사람 몸에 해로운 기생충,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경우에 따라 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가 사람 몸 안에서 매우 위험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소의 생간에서는 는 식중독 등의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대장균, 살모넬라, A형 간염 등의 병원체 역시 발견됩니다. 게다가, 소들은 중금속이나 화학물질과 같은 환경적인 독소에 노출될 수 있는데, 이것들이 소의 간에 축적될 수 있고 사람이 이런 간을 먹을 경우, 건강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확률은 더 높아집니다. 

 

생간을 먹고 나타날 수 있는 증상 

대부분은 가벼운 몸살이나 복통 정도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문제는 백내장, 척수염, 뇌막염 같은 큰 질병으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생간을 먹고 문제가 나타나는 이유는 주 원인은 기생충 때문이고, 구체적으로는 개회충에 의한 감염입니다. 개회충은 개, 오리, 염소 등 다양한 동물의 간에서 발견되는 흔한 기생충인데, 사람 몸에 들어모녀 사람의 폐나 간에 기생하는 녀석입니다. 개회충 감염 증상되면 몸살과 열이 나며, 이 기생충이 눈이나 뇌로 이동했을 때 시력에 문제가 생기고, 내장과 간에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여기서 심해지면 척수염, 뇌경색 등으로 발전되는 것입니다. 일단은 생간을 먹고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약국에서 판매하는 일반 회충약을 복용해도 되지만, 약을 한 번 먹는 걸로 체내 기생충이나 바이러스가 바로 사멸되지 않기 때문에, 증상에 따라 5일 이상 복용하거나 다른 약물과 함께 먹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되도록 전문의의 진단을 받고 전문의약품을 처방받아먹는 걸 권유드립니다. 

생간 사진
생간 사진

생간에서 발견되는 기생충 종류 

개회충외에도 생간은 인간에게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기생충을 포함하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생간에서 발견되는 흔한 기생충들은 간엽근, 태니아 사기나타, 에키노코쿠스 그라놀로수스, 톡소플라스마 곤디가 있습니다. 전부 소와 다른 방목 동물들을 감염시키는 간흡충입니다. 이 기생충들의 유충이 들어 있는 날것이나 덜 익은 고기를 섭취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간엽근의 증상은 복통, 발열, 메스꺼움, 구토가 있고, 태니아 사기나타도 복통, 설사, 체중 감소가 일어납니다. 에키노코쿠스 그라놀로수스도 마찬가지의 증상이 있고, 톡소플라스마 곤디는 임산부와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실명, 뇌손상, 유상 등의 심각한 증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생간을 먹으면 가볍게는 복통, 몸살부터 심하게는 안구, 뇌 등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대부분은 감염되도 심각한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증상이며, 자연 치유됩니다. 안과질환이 생겨도 80% 가까이 0.5까지는 시력 회복이 된다고 하니, 생간의 위험성이 엄청 우려할 정도는 아니나, 그래도 생간을 먹어도 건강이 이득이 되는 부분은 없으므로 생간 섭취는 주의하는 게 좋습니다. 

 

안전하게 간을 먹는 방법 

간을 내부 온도가 최소 71도가 되도록 요리하면 기생충 걱정 없이 더 안전하게 먹을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음식을 익혀먹고, 1년에 한 번씩 알벤다졸이나 플루벤다졸 같은 구충제를 복용하면 기생충이 체내 영양제를 흡수하는 걸 막아 굶겨 죽입니다. 구충제는 공복에 먹는 게 가장 효과가 좋습니다. 생간 외에도 강에서 잡은 민물고기는 회로 먹으면 간흡충에 걸릴 위험이 있으므로 이 또한 조심하는 게 좋습니다. 

'건강 > 건강 이상 증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바드 증후군 대처법  (1) 2023.03.18
당화혈색소 낮추는 법  (0) 2023.03.10
설탕 대체용 에리트리톨 부작용  (1) 2023.03.01
리플리 증후군과 공상허언증  (0) 2023.01.07
색약 테스트  (1) 2023.01.05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